척척시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척척시사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78)

검색 레이어

척척시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토론과 논쟁에서 이기는 법

    2020.04.12 by 에코맨21

  • 한국에는 진보 또는 좌파가 있는가

    2020.04.10 by 에코맨21

  • 유머 - 처제의 숨겨진 일기

    2020.04.09 by 에코맨21

  •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2020.04.09 by 에코맨21

  • 뒤르켐의 자살론 해설

    2020.04.09 by 에코맨21

  • 논어, 장자, 사기 등 동양고전 읽기

    2020.04.07 by 에코맨21

  • 낮은 곳으로 임하는 예수를 찾아라

    2020.04.07 by 에코맨21

  • 기복신앙과 한국종교의 미래

    2020.04.07 by 에코맨21

토론과 논쟁에서 이기는 법

프롤로그 - 모든 討論術의 기초에 대하여. "討論術은 진리를 찾는 데는 관심이 없다. 이것은 검객이 결투를 초래한 언쟁에서 누가 옳은가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무엇보다도 모든 논쟁의 본질이 무엇인지, 즉 논쟁에서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잘 생각해야 한다. 상대방이 어떤 내용을 주장했을 때, 그것을 반박하는 데는 두 가지 화술과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논쟁 내용과 연관된 화술 ☞ 가정,주장,사례에 대한 반박. 논쟁 상대방과 연관된 화술 상대방이 인정한 사실을 근거로 하는 화술. 상대의 주장이 내용상 절대적이며 객관적인 진리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 주어야 한다. 혹은 상대방이 이미 인정했거나 주장했던 내용이 상대적이고 주관적이며, 진리와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

카테고리 없음 2020. 4. 12. 11:58

한국에는 진보 또는 좌파가 있는가

얼마전 우연한 기회에 나이가 지긋한 분들의 모임에 참석한 적이 있었다. 이분들은 연배가 60대에서 70대 초반에 흔히 KS라고 불리는 명문학교를 나오신 분들이었다. 이분들은 세련된 차림새가 무색하게 자리에 앉자마자 육두문자를 써가면서 현정권에 대한 비판에 열을 올렸다. 주된 얘기는 국민들을 무시하고 편가르기 정치를 일삼는 대통령이 나라를 망치고 좌경화된 586출신 정치인들이 국정을 농단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국민통합과 민생안정을 염원하는 국민의 뜻을 따르기보다 정략적으로 개혁과제를 밀어 붙여 국론분열과 이념적 양극화가 심각해지고 있고 또 청와대를 중심으로 정권 핵심부에 좌파인사들이 포진해 반시장적인 정책을 펼치면서 한국사회의 전망을 어둡게하고 경제난 등으로 우향우를 하고 있는 국민들의 정서를 무시하고..

카테고리 없음 2020. 4. 10. 14:33

유머 - 처제의 숨겨진 일기

나와 처제는 4살차이로 처음 처제가 나를 본날 쑥스러워서 말을 꺼내지도 못했다.하지만 처제의 그 눈빛…나를 쳐다보는 그 눈빛을 잊을 수 없다. 나도 솔직히 말해 처제를 처음보고 지금 아내만 아니었으면 사귀고 싶은 생각이들 정도로 매력있는 여자다. 그런데 몇일전 아내가 창고에서 처제의 일기장을 발견했다고 한다. 그리고 나를 처음봤을때의 내용도 있다고 말해 주었다. 그걸 읽고 이럴수가 있나 하면서 힘들었다고 하는데… 정말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아내는 틈나면 작은방에들어가서 그 일기를 읽는다고 한다. 오늘도 작은 방에서 집사람 우는소린지 웃는 소린지 흐느끼는 소리가 들린다. 너무 답답하다. 드디어 아내가 그 낡은 일기장을 내게로 가져왔다. “이거 뭔데? “내 동생 일기장” (문득 마음 한켠이 져며 온다) “..

카테고리 없음 2020. 4. 9. 13:53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朱憙(1130~1200)는 남송 때의 학자로, 그가 완성한 학문을 주자학이라고 한다. 한국,중국,일본에서 주자만큼 후세에 영향을 많이 끼친 학자도 드물다. 주자학은 고려 말 안향에 의해 전래된 이후, 조선 말까지 500년 넘게 한국인의 정신을 지배해 왔다. 주자학을 중심으로 한 여러 유학자들의 학문을 성리학이라 부른다. 성리학은 지금도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제사,장례,전통혼례의 형식은 대부분 주자가 정한 방법을 따르고 있다. 주자는 송나라 당시 선배학자들의 학문을 이어받아 孔孟의 유학을 새롭게 완성했다. 대부분의 종교에서는 흔히 내세에서 보상받기 위해 선하게 살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반면 성리학에서는 현세에서의 인간의 도리를 가르친다. 그것이 하늘의 이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늘의 이치..

카테고리 없음 2020. 4. 9. 13:48

뒤르켐의 자살론 해설

오귀스트 콩트(1798~1857)와 더불어 에밀 뒤르켐(1858~1917)은 사회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불린다. 보불전쟁에서 패한 직후 어려운 상태에서 프랑스의 개혁은 도덕적 재건을 통한 정신의 통일에 있었다. 뒤르켐은 프랑스의 도덕을 재건할 수 있는 학문을 만들고자 했다. 그의 관심사는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였다. 즉 개인에게 관심을 둔 학문과 거시적인 사회에만 초점을 둔 학문을 종합하는 것이 그의 관심이었다. 물론 그는 사회의 영향력을 강조하는 사회 실재론자였지만, 콩트의 도덕적 규범의 강조와 마르크스의 경제구조에 대한 강조를 통합하고자 했다. 즉 사회의 영향력을 강조하되 개인과 사회 어느 한쪽에만 강조점을 두는 시각을 탈피하고자 했다. "사회는 우리를 초월해 있는 어떤 것이며, 동시에 우리 속에 ..

카테고리 없음 2020. 4. 9. 13:41

논어, 장자, 사기 등 동양고전 읽기

우리 시대, 동양고전을 읽어야 하는 이유. 1. 사소한 것들에서 깨달음을 찾다. - 박웅현. 고려대 신문방송학과. 뉴욕大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 TBWA/Korea 임원.『책은 도끼다』『인문학으로 광고하다』등. "창문을 열고 편히 앉아 주역을 읽노라니 가지 끝에 흰 것 하나 하늘의 뜻을 보았노라." - 정도전. 周易을 읽는 이유는 하늘의 뜻을 알고 싶어서였을 것이다. 그런데 창 밖에 시선을 던졌는데 흰 꽃이 눈에 들어오고 거기서 하늘의 뜻을 깨닫는다. "지식은 바깥의 것이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지만, 지혜는 안의 것이 밖으로 나가는 것이다." - 법정. 서양은 어떤 것을 알기 위해 따진다. 따지고 알아보고 분석하고 그리하여 기어이 답을 찾아낸다. 좋은 장점이다. 그런 태도가 화성까지 도달했다. 화성에 간 ..

카테고리 없음 2020. 4. 7. 07:58

낮은 곳으로 임하는 예수를 찾아라

절대다수의 기독교인들은 일요일 예배 때 이른바 사도신경이라는 신앙고백문을 암송한다. 사도신경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예수의 동정녀 탄생과 부활, 대속 그리고 재림을 담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예수의 인간적인 모습보다는 신적 존재로서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사도신경은 오랫동안 주류 교회의 핵심 테제로 정통과 이단을 구분하는 잣대로 삼고 있다. 그만큼 금과옥조로 삼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사실 제정하는 과정은 아름답지 못했다. 기독교가 공인받은 이후 신성과 인성을 놓고 다툼이 벌어지는 가운데, 제국의 분열을 우려한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개입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제국과 하나의 종교를 원했던 황제가 예수의 신성을 중요시하는 파벌의 손을 들어주면서 그 후예들이 오늘날까지 가..

카테고리 없음 2020. 4. 7. 07:52

기복신앙과 한국종교의 미래

1. 들어가는 말-기복신앙이란 무엇인가 기복신앙에서 추구하는 복(福)은 일반적으로 평안과 만족 그에 따르는 기쁨의 상태를 말한다. 변화무쌍한 인생사에서 예측가능하고 편안한 삶을 누리려는 인간의 갈망이 복이라는 개념으로 형상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기복신앙은 일반적으로 자연숭배·조상숭배·샤머니즘 등의 형태로 유지되어온 민간신앙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신앙행위는 유교·불교·도교 등의 고등종교가 들어오면서 이들과 여러 형태로 결합하면서 개념화되었다. 그러나 굳이 유교·불교·도교 등의 힘을 빌리지 않더라도 복에 대한 갈망은 일상화되어 있다. 우리의 경우 새해가 되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종교와 상관없이 주위 사람들과 `복많이 받으라'는 인사를 나누고 것이 상례화 되어있다. 종교적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0. 4. 7. 07:4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0
다음
TISTORY
척척시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